mbti가 유행처럼, 놀이처럼 번진지 꽤 되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에 단체로 다같이 검사를 받았던 것 같고,
그 이후에는 개인적으로 대학교에서 검사를 신청해서 받았었는데
아래 페이지에서 인터넷으로도 손쉽게 12분이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무료 성격유형검사 | 16Personalities
혹 질문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정직하게 답변하십시오.
www.16personalities.com
검사해봤는데,
INTP인가봅니다.
크리스틴 스튜어트, 빌 게이츠도 이런 유형이라고 합니다. 연예인도 이런 성격일 수 있다니 신기합니다.
보통
I는 내향형, E는 외향형
T는 분석형, F는 공감형
P는 무계획, J는 계획형이라고 합니다
N과 S는 뭔가 싶어서 사이트에서 이것저것 좀더 눌러보니,
People with the Intuitive trait prefer to exercise their imaginations as they seek new ideas and possibilities. They live their day-to-day lives just like any other personality type. But while that’s happening, their minds tend to point inward while at the same time gently focusing somewhere beyond the horizon. Their lives are ones of questioning, wondering, and connecting the dots in the “bigger picture,” and they love the theoretical. They often ask, “What if?” and ponder the possibilities the future might hold.
88% of those with the Intuitive trait say they spend a lot of time thinking about “What if?” scenarios, compared to 63% of those with the Observant trait.
“THOUGHT PATTERNS” SURVEY
But Intuitive people aren’t always the most practical, preferring instead to give things deeper meaning. There may be a long wait as these personality types allow their imaginations free rein. They may also leap in too quickly to more complex matters. An entire theory can come together in moments, leaving others confused. In either case, they can appear out of touch to the Observant individuals in their lives. For some Intuitive folk, there may be some truth to this observation.
“Things are only impossible until they’re not.”
JEAN LUC PICARD, STAR TREK: THE NEXT GENERATION
That said, when there’s a need for innovation or a different perspective, people with Intuitive personality types can usually step up and provide a new direction. Practicality can sometimes be overrated, especially when a situation calls for serious change and “coloring outside the lines.” This is where Intuitive people shine. They bring interesting dimensions to life beyond everyday ideas – and take those who decide to go along with them.
83% of those with the Intuitive trait say their minds often drift off during a conversation, compared to only 58% of those with the Observant trait.
“BEING IN THE MOMENT” SURVEY
일어날지도 모르는 일에 대해 '~~하면 어떻게 될까?' 하고 생각을 해본다고 합니다.
복잡한 문제에 대해서는 너무 빨리 뛰어넘어버리기도 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론적인걸 좋아한다고 합니다.
The phrase “real-time” was created with Observant individuals in mind. They’re most in touch with what occurs in front of them, in the present. This doesn’t mean Observant personality types have no regard for the past and future. But they view both from the perspective of how each influences their present actions. This makes them focused and practical people. They mostly root their thinking in the actionable, tangible, and useful. But make no mistake, these personalities can be creative within that realm.
71% of those with the Observant trait say simplicity is more beautiful than complexity, compared with 52% of those with the Intuitive trait.
“BEAUTY” SURVEY
One challenge people with the Observant personality trait may face is a too-narrow perspective. They may reject far-reaching solutions in favor of something more obvious. By continuing something that appears practical at arm’s length but doesn’t fit the bigger picture, they might reduce their hard work to busywork.
대략 해석하면 S사람들은
'현재 당장'을 가장 중요하게 봅니다. 현실적인 사람들이라고 보면 됩니다. 실현 가능하고 유용한 것에 관해 생각합니다. 실수하지 않습니다. 한정된 영역 내에서 창의적일 수 있습니다.
너무 좁은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단점일 수 있습니다.
한국어 버전을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고 되어있지만,
한국어 결과는 하나로 뭉뚱그려 나오고
영문판은 분명히 다릅니다.
강점/약점, 우정, 연애관계 등으로 세부 카테고리도 분류되어있네요.
다음에는 날잡고 번역을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검사 결과 중 일부를 긁어왔습니다.
또한 이들은 다른 이의 감정 섞인 불평이나 불만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친구들은 그들에게서 어떠한 정서적인 위로나 위안을 받지 못합니다. 더욱이 사색가형 사람은 근본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한 논리적인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감성적인 성향의 사람과는 대조되는 부분입니다. 이러한 이들의 성향은 나아가 저녁 모임 계획이나 결혼 준비와 같은 기타 사회적 만남이나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은 기본적으로 지나치리만치 독창성과 효율적인 결과를 좇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의 앞길을 가로막는 한 가지 장애물은 계속해서 드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사색가형 사람은 혹 자신이 중요한 퍼즐 조각을 놓친 것은 아닌지, 혹 이로 인해 자신이 정체되거나 그들의 지식이 아직 실질적으로 적용되지 않은 무형의 세계에서 길을 잃는 것은 아닌지를 걱정하며 자신의 생각이나 이론을 끊임없이 재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의구심을 극복하는 것이 이들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크든 작든, 이들이 가진 지적 능력에서 말미암은 이들의 도전은 그 자체만으로도 세상에 큰 가치를 가져옵니다.
엄청 공감되는 부분은 색깔칠을 해보았습니다.
공감하기 힘들다...사회생활 힘들다... 그래도 애정으로 애써서 공감하는 척 열심히 합니다...
징징이 싫어합니다... 나도 잠깐(!) 징징이일 때 있지만 말하는 데에 의의가 있지 해결방법을 바라지 않습니다.
어차피 해결은 내 일인지라 나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말해봤자 달라지는 것 없다고 생각합니다.
해결방법을 바랄때는 진짜 그냥 딱 집어서 말하는 편입니다.
'이럴 때 어떻게 말하면 될까? 조언해줘.' 이렇게...
이렇게 요청할 때 말고는 잔소리 듣기 싫어하고 조언도 납득할 만한 설득력있는 이야기가 아니면 안듣습니다.
다 그렇진 않겠고 전부 신봉할 순 없겠지만
재미삼아 보기 괜찮은 것 같고, 그런 사람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넓은 마음의 계기가 된다면 좋겠습니다.
국가보훈처 국가유공자 생활조정수당 신청자격 지급요건? (0) | 2021.09.13 |
---|---|
애드센스 프로그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부분 (1) | 2021.05.02 |
맛있는 프랑스 치즈 기록 - 와인 안주로 제격 (0) | 2021.04.26 |
네이버 블로그 협찬 광고 걸러내고 진짜 맛집 찾는 방법 (0) | 2021.04.12 |
스타벅스 미드나잇 베르가못 콜드브루와 체리 포레스트 케이크 맛 (0) | 2021.04.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