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팀목 전세대출 2021년 기준 전세 대출 관련 정보!
직접 은행투어를 정말 많이 했다.
거래하지 않는 은행들까지 뚫을 생각하고 발품팔아서 돌아다녔음.
인터넷 검색해보고 지인에게 물어보니
카카오뱅크를 많이 한다고 했는데
일단 은행 방문해보고 결정하려고
우리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전부 다녀봤다.
일단 은행 전반적으로 은행 자체 전세자금대출을 알려주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제공하는 버팀목 대출을 먼저 설명해주진 않는다. 아마 은행직원 실적으로 잡히지 않아서 그런가보다. 그래도 책자(팸플릿)는 곳곳에 놓여있기도 하니 알아서 집어서 잘 읽어보고 문의해보면 된다.
일단 자체 대출상품중에 우리, 신한, 국민 전부 전세자금대출 우대금리요건(청약통장, 급여이체, 공과금이체, 해당은행카드사용실적)을 다 채워도 버팀목과는 금리차이가 꽤 컸다. 2.3~2.5%이상이었다. 금리가 생각보다 다 높아서 이건 더 알아볼 것도 없다 생각함. 내 신분증으로 조회하기 전에 일반 전세자금대출상품을 문의한 것이며 개인차가 있어도 최저금리는 그정도였을것같다.
그리고 적극적인 실적상품이 아니다보니 설명도 조금 차이가 있어서 유의해야 했다.
아래 사진은 우리은행에서 집어온 팸플릿이었는데,
2020.5.25.날짜라고 찍혀있고, 2021.12.31.까지 유효하다고 써있지만!
2020.8월자로 또 금리가 달라졌고, 그 내용이 반영된 팸플릿 인쇄물이 놓인 은행은 지점별로 달랐다.
내가 방문하며 알아본 시기는 2020. 8월은 지난 2021.1월 정도였기에 분명 새로운 내용이 반영되어있었어야 맞는데 역시 사람이 하는 일은 다 다른것이다(나도 일하면서 느낌)
그래서 결론적으로 우리, 신한, 국민 전부 자체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2% 훌쩍 넘었고,
기본 상담은 신분증 조회 없이 가능하므로 신용등급 영향이 갈까 두려워할 필요 없다. 나는 거래은행도 아닌데도 그냥 갔었다 대출이 저금리로 되는 곳이면 신규계좌가입하고 상품가입할 생각도 있었지만 결국
버팀목이 되는 은행 중 거래은행이던 국민은행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근데 그 은행원분도 대출업무를 처음해보신다고 해서.. 옆사람에게 물어물어서 ㅎㅎ 같이 진행을 해주셨다.
그래도 오히려 처음이라 정신없으셔서인지 내게 다른 상품권유를 하진 않았다.
손바닥 생체 저장? 그것만 했다. ATM출금을 지문이 아니라 손바닥을 대서 인식시키면 가능하다던데 아직 해본적은 없다. 세상 참 좋아졌다 신기함. 이건 돈드는건 아니라서 그냥 함
그래도 기본적인 자격요건은 변함이 없으니 팸플릿 참고!
- 성인인 세대주(예정자 포함)
- 세대주와 세대원이 신청일 기준 전부 무주택
- 연소득 5천만원 이하(신혼가구, 2자녀 이상 가구는 연소득 6천만원 이하)
- 자산 2.88억원 이하
사실 서울시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제도를 활용하고 싶었지만 대상이 아니라서 ㅠㅠ
이거는 또 다음에 쓰도록 하겠다.
서울시이고 공공임대주택이 아니고 불법건축물이 아니라면 활용할 수 있는 제도가 새로 생긴 지 1년? 2년정도밖에 안되었는데 서울시 지원제도가 좋긴 하다... 나는 비록 못했지만 열심히 알아봤었기에 .
다시 주제로 돌아가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당연히 전세 보증금을 위한 대출이기 때문에
임대차계약서가 필요하다. 일반전세대출상담을 위해서도 확정일자가 찍힌 임대차계약서를 사본으로든 스캔으로든 들고 있는 것이 좋다.(확정일자는 임대차계약서스캔본으로 인터넷등기소에서 유료로 가능!)
그 외에 필요한 서류는 보통
- 주민등록등본(최근 5년 주소변동내역 포함, 1개월 이내 발급)
- 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사업자등록증명원(또는 재직증명서)
- 주민등록증(신분증-기본인데 깜박한다 지갑을 잘 안들고다녀서)
- 임차보증금의 5%이상 납입한 영수증(또는 이체 내역서)
진한 글씨가 최소한으로 필요한 서류들이다.
나는 혹시나해서 재방문하기 싫어서 가족관계증명서까지 다 들고 갔었다.
등기부등본은 굳이 안들고가도 은행에서도 확인 가능하니까 보통은 필요 없다.
[각 서류 발급처, 발급방법, 발급비용]
*정부24사이트에서 무료로 등본, 초본 발급이 가능하고,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소득금액증명원을 무료 발급 가능하다.
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wq?w2xPath=/ui/pp/index_pp.xml&tmIdx=02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는 건강보험공단 1577-1000에 전화해서 팩스로 받는 게 빠르다.(신분증 필요, 무료)
*원천징수영수증, 재직증명서는 재직하고 있는 회사에 요청.
*임차보증금 5% 납입 영수증은 꼭 필요하진 않을수 있지만, 부동산에 요청한다고도 한다.
나는 은행 홈페이지에서 이체내역을 인쇄했다.
결론적으로 내가 받은 금리는 1.8%이고,
여기에 우대금리를 받으려면 기초생활수급권자, 다문화, 장애인, 노인부양, 다자녀가구 등이 해당되어야 하는데
나는 해당이 없어서 패스
변동금리라서 사실 또 달라질 여지가 있지만 요즘엔 당분간 변화가 없을 것 같다.
내가 또 불안해서 5월자로 인쇄된 팸플릿까지 보여드리면서
은행원분한테
5월 이후 8월자에 바로 금리가 변동되었는데 3개월마다 변동이 되나요?
문의했는데 보통 그렇게 자주 바뀐다고는 안하셨다.(6개월~1년 주기 예상)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달라지는 거긴 한데 금방 오르지 않을 것 같다.
상세한 절차는 대출실행예정일 최소 2주일 전에
1. 자격요건 확인하고, 필요 서류를 들고 은행에 간다. (대출할 금액을 생각해둔다)
2. 대출약정서를 여러장 작성한다. (틀릴까봐 연필을 먼저 줬었다ㅎㅎ)
3. 전화/문자 대기한다.
- 진행상황 안내 1차: 주택도시기금에서 사전자산심사 결과 적격 판정 문자 / 은행에서 관련 안내 연락
2차: 대출실행 이후 사후 자산심사 결과 적격 판정 문자(대출실행일로부터 10일정도 이후 문자가 왔다)
4. 대출 실행일에 바로 실행(불안해서 평일로 함) - 이때도 은행원분이 따로 별도 연락 주심. 실행하겠다고.
사실 빠르면 일주일 안에도 심사와 실행이 되는 것 같기는 한데, 불안하고 변수가 있을지 모르니 여유있게...
나는 거의 대출실행 한달~3주전에 은행가서 신청을 했다.
같은 버팀목이어도 대출 시기에 따라 대출금리가 당연히 다르니까 참고!
친구는 2년전쯤 했을 땐 2.6%에 했다고 했었다.
지인은 최근에 카카오뱅크 전세자금대출로 했을때 1.81%인가 1.83%로 했다고 들은것같다.
은행에서 대출약정관련한 서류를 전혀 주지 않아서 나중에 다시 문의했더니
간단하게 한장으로만 된걸 주셨다. 근데 세부 내용은 또 막상 안써있었고
모바일뱅킹으로 다 확인할수 있다고 하심..
재방문할필요없게 관련서류는 바로 달라고 하는게 좋을것같다.
(*참고: 은행 대표번호 말고 해당 은행원분 직통 전화번호를 꼭 알아두길!)
담당분이랑 나랑 둘다 초보라서 배워가며 했던것같다. ㅎㅎ
근데 은행 평일에 가도 대기 왜이렇게 기냐... 국민은행이 대기 제일 긴것같다.
매달 은행에서 이자 나간다고 문자 온다ㅜ
중도상환수수료는 없다.
2년단위, 총 4회 연장 가능.
내집을 가지는 날까지..!
하나은행 모바일 하나원큐 신용대출(비교적 저금리, 간편) 꿀팁 (0) | 2021.03.24 |
---|
댓글 영역